본문 바로가기
포노사피엔스로 살기/그 남자의 궁금증

묘호 조선의 임금 왕 조와 종의 차이

by 생독TV 2022. 7. 5.
반응형

묘호 조선의 임금 왕 조와 종의 차이

묘호란 죽은 황제나 왕의 제사를 지낼 때 사용하는 이름입니다. 조는 창업군주에 붙여주는 묘호이며 나머지는 종을 붙입니다. 그러나 중국에서 시작한 묘호가 조선에 들어와서 창업군주이외에 조를 붙임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묘호는 다음 왕이 정합니다. 

 

보통 태조, 고조는 창업 군주(나라를 세운 군주)에게 붙이며 태종은 2대 군주에게 붙임니다. 그러나 조선은 태조, 정종, 태종순입니다. 그 이유는 세종이 아버지인 태종 이방원을 2대 군주로 인정했으며 큰아버지인 정종을 2대 군주로 인정을 하지 않아서라고 합니다. 아무리 훌륭한 군주라도 팔은 안으로 굽나 봅니다. 

 

태조 이성계의 4대 직계는 당시 목종, 익종, 도종, 환종이었지만 후에 조를 붙입니다. 그리고 특히하게 사후에는 종이었다가 후대에 조로 변경된 묘호를 쓰는 임금은 세조, 선조,인조, 영조, 정조, 순조, 장조, 문조 등이 있습니다. 

 

  • 목조, 익조, 도조, 환조: 개국 시조 앞의 4대조에 해당. 이는 동아시아 모든 왕조가 당연히 해온 것으로 정상적인 묘호다.
  • 태조: 개국 시조.
  • 세조: 아들인 예종이 강력히 밀어붙여서 채택되었다. 원래는 신숙주 등이 신종(神宗), 예종(睿宗), 성종(聖宗)으로 정해 올렸으나, 예종은 그 안건을 거들떠 보지도 않고 세조로 해야 한다고 강경하게 주장하여 관철시켰다. 실록 기사
  • 선조: 세조와는 달리 원래 묘호가 '선종'이었다. 광해군 시기에 정통성을 강화하는 목적에서 추숭되었다. 추숭할 때의 명분은 종계(宗系)를 올바르게 밝히고, 왕업을 중흥한 공로. 
  • 인조: 1차로 정해진 것은 '열조'였으나, 남당의 열조가 하필 찬탈한 황제라  논란이 되었고, 일주일 뒤에 다시 의논을 하여 '인조'로 정했다. 실록 기사 이에 '조(祖)'가 너무 남발된다며 반발하는 상소가 올라오기도 했지만 전례들이 있는데 뭐가 문제냐고 가볍게 일축해버렸다. 
  • 순조: 원래 묘호는 '순종'이었으나, 철종 시기에 정통성을 강화하는 목적에서 추숭되었다. 추숭할 때의 명분은 홍경래의 난을 진압하고, 사학(천주교)을 처단했다는 근거였다.
  • 영조: 원래 묘호는 '영종'이었다. 1890년 고종 시기에 정통성을 강화하는 목적에서 추숭되었다. 추숭할 때의 명분은 나라를 오래 안정시키고 백성을 잘 다스렸다는 것. 선조와 마찬가지로, 실록에는 '영종'으로 표기되어 있다. 추숭 당시 실록내용
  • 장조, 정조, 문조: 엄밀히 말하면 조선의 추숭으로 조로 올라간 것이 아니고 대한제국의 4대조 추존으로 인해 올라간 사례. 셋 모두, 처음에 받은 묘호는 '조(祖)'가 아니었다. 각각의 원래 묘호는 장종, 정종, 익종. 고종의 친아버지는 알다시피 흥선대원군이지만, 왕위에 오른 후 효명세자의 양자로 입적했기 때문에 저 셋은 고종의 양고조할아버지, 양증조할아버지, 양아버지에 해당한다. 순조도 양할아버지에 해당하지만, 이미 철종 때 '조(祖)'로 추숭되었기 때문에 묘호가 바뀌지는 않았다. 즉, 조선의 '조(祖)' 묘호 남발과는 좀 다른 케이스에 해당한다. 대한제국이 워낙 짧게 끝났기 때문에 조선의 연장선처럼 취급되고, 하필 고종이 대한제국의 개국 시조보다는 망국의 군주 이미지가 강해서 그렇지 이들의 묘호를 '조(祖)'로 하는 것은 동아시아 왕조 국가의 전통상 합당하다.
반응형

댓글